정보보호영재원_중등기초

인터넷 주소 체계 & 네트워크 설정 2021-08-07 (토)

상세 2021. 8. 7. 12:00

1. 통신과 네트워크

1) 통신

* 서로 다른 두 지점 간에 어떤 대상을 주고받는 것

 

2) 네트워크

*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구성요소

 

3) TCP/IP와 OSI 7 Layer

* TCP/IP는 약 50년 전 미국 국방성에서 개발, OSI 7 계층은 세계의 석, 박 사들이 개발

* OSI 7 계층은 TCP/IP 보다 먼저 개발되었지만, 무겁고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TCP/IP를 사용하게 되었다.

 

네트워크와 암호학은 해커에게 필요한 기본 개념이다.

TCP/IP는 개발 당시 보안을 고려하지 않아 해커의 위협으로부터 취약하다.

 

동일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와 통신할 때는 MAC 주소를 이용하고 타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와 통신할때는 IP주소를 이용한다.

 

2. IP의 정보 전송 방법

1) IPv4와 IPv6

* 현재 IPv4의 주소가 모자라서 IPv6를 사용하게 됨.

* IPv4는 Unicast, Multicast, Broadcasd를 사용하고, IPv6는 Unicast, Multicast, Anycast

 

2) 통신 방법

* Unicast란 1:1로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

* Multicast란  1:그룹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 

* Broadcast란 1:모두로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

* Anycast란 그룹 단위로 전송해서 첫 번째 PC가 정보를 받으면 통신이 끝나는 방법

 

3) 정보 전송 방식

* Simplex(단 방향)은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 가능한 것 예) 라디오

* Duplex(양 방향)은 Half Duplex(반이중 통신) Full Duplex(전이중 통신)

- 반이중 통신은 한쪽이 통신 중에는 다른 한쪽은 정보를 받을 수만 있음. 예) 무전기

- 전이중 통신은 양쪽 다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 예) 스마트폰 통화

 

4) Collision Domain과 Broadcast Domain

Collision은 1 계층에서 하나의 통신선을 여러 명이 사용할 때, Half Duplex처럼 여러 대의 PC가 하나의 통신선에 정보를 보내면 충돌 발생.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음.

Collision이 발생하는 범위

Broadcast Domain은 Broadcast가 발생하는 범위. 

 

3. OSI 7 계층

1) OSI 계층의 범위

애플리케이션 계층 : 웹브라우저

프레젠테이션 레이어 ~ 트랜스포트 계층 : 운영체제 담당

데이터링크 ~ 물리 계층 : 랜카드

 

4. 동일 네트워크간 통신

1)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개념

* 디폴트 게이트웨이 : 내 PC에 물려 있는 라우터

 

2) ARP

*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5. IP address 주소체계

FTP : 21 TELNET : 23 SMTP : 25 

 

 

6. 인터넷이 안될시 해결 방법

1) 나의 랜카드 확인

* 윈도우 파워쉘 -> ipconfig로 자신의 IP주소 확인 -> ping 자신의 IP주소 -> 결과값 확인

 

 

이번수업 내용은 정리하기 조금 어려워서 내용이 많이 부실하다.

 

질문

Q : 정보보안전문가로 취업시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은 어느정도 수준이여야 하나요?

A : 정보보호전문가에게 네트워크 지식은 기본이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대학교까지 배우는 모든 네트워크 지식은 열심히 공부하여 준비하셔야 합니다. 회사 입사 전까지 네트워크의 지식 수준은 정보보호기사 자격증의 네트워크보안을 합격할 정도로 공부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