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개인정보 보호" 카테고리의 글들은 모두 케빈 미트닉의 저서인 "보이지 않게 아무도 몰래 흔적도 없이"의 내용들로 구성되어있음을 밝힙니다.
암호 관리법
1) 단어 대신 표현이나 문장으로 암호를 만들고, 적어도 복잡하고 20~25자 수준으로 길어야 한다. (무작위 암호 추측 프로그램의 해독 시간을 증가시켜준다.)
2) "Password Safe", "KeePass'와 같이 데이터를 컴퓨터에만 로컬로 저장하는 암호 관리툴을 사용하라 (케빈 미트닉의 추천)
3) 다른 두 계정에 같은 암호를 절대 쓰지 않는다.
4) 암호를 노트에 적어둬도 되나 조건이 있다.
* 예를 들어 네이버 계정의 비밀번호가 JustApieceOfPaper13048일 경우 절대, JustA13 정도만 적어라 이렇게 하면 타인은 이 메모를 보아도 비밀번호를 알 수 없지만, 자신은 나머지 부분을 잘 알고 있다.
5) 누구에게도 알리지 말라
6) 물리적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보호 할수 있도록 기기에 암호를 설정하라
* 기기의 암호 설정시 PIN이나 비밀번호, 지문이나 얼굴 등 두가지 이상의 잠금을 설정하라
7) 꼭 보안 질문 (예를 들어 "당신의 할아버지의 성은 무엇인가?", "당신의 삼촌의 출생지는 어디인가"?) 에 솔직하게 답할 필요가 없다. 그 예로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색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뜬금없이 '하마'라고 답해도 되는것이다.
8) 이중 인증을 사용하라
평소에 암호 관리 방법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암호 관리툴이 있다는건 처음 알았다. 또한 보안질문에 솔직하게 답할 필요가 없다는 발상이 참신한것 같다.
'사이버 보안 메모 > 개인정보 보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암호화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메신저 암호화에 대해서) (0) | 2021.07.26 |
---|